2번째 특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팀 빌딩까지는 React를 해보고 싶었지만,, 팀원들과 이야기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인프라+BE를 담당하게 되었다.
1학기 관통 Full(여행관련 주제로 유저 CRUD + 게시판 CRUD + 여행정보 CRUD)
2학기 공통 웹디자인(SNS) BE
2학기 특화 빅데이터(분산) BE + Infra 순서를 밟게되다니..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
Docker를 본격적으로 음미하기 위해 Docker Desktop을 설치했는데 다음과 같은 계속 오류를 뿜어내는 것이다!!!
이것을 해결해 보고자 wsl --update
라는 문구를 입력했지만 설치 상태가 0.0%에서 도저히 증가하지 않았고
wsl --l
을 통해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WSL 리스트를 출력하니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 같았다...
wsl --l
은wsl -list
와 같은 명령어 이다.
이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나는 수동 설치를 진행했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해결과정
1. WSL 수동 설치
WSL 수동설치 가이드 - (공식문서)에 들어가 보자
1단계 부터 5단계 까지 구성되어 있으니 본인 상황에 맞춰 설치를 진행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현재 진행하는 모든 상황은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 뒤 콘솔창에 다음 메세지를 입력한다.
1.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옵션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2. Virtual Machine(가상화 머신)기능 활성화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이후 노트북이나 컴퓨터를 다시 시작시키자!!!
3.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23.08.21기준 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4. WSL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한다.
PowerShell을 열고 새 Linux 배포설치할 때 WSL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한다.wsl --set-default-version
5. Microsoft Store를 통해 배포할 Linux 선택
SSAFY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AWS EC2에 ubunto18.04 버전을 배포해주기 때문에 이에 맞춰 Linux 배포 버전을 선택할 것이다.
MS스토어 ubuntu18.04
설치가 마무리 되었다면 Ubuntu 18.04 on Windows를 실행시켜 Username
과 Password
를 설정해주자!!
6. wsl -l 명령어 재입력
다시 PowerShell로 돌아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 후 wsl -l을 입력하면 현재 기기에 설치된 WSL들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제 Docker Desktop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